나주문화원 주최 ‘나주학 강좌’ 목포대 최성락 교수 자격 논란&누리꾼들 “영혼 없는 짓” 반발에 문화원측 “직접 들은 바 없다”

‘나주의 옛날부터 현재까지, 나주와 관련한 연구와 많은 공부를 하신 분들이 여태껏 우리가 알지 못했던 나주를 알려주는 ‘나주 바로 알기’ 꿀팁 강좌!‘

지난 24일 페이스북 나주시 페이지에 올라 온 ‘나주학 강좌’ 안내와 참가자 모집 홍보글에 누리꾼들의 댓글이 이어졌다.

윤○○ : 첫번째 주자는 어케된건가요? 국정 교과서 그분 아닌가요?

이○○ : 고고학 연구자로 탁월한 식견을 가진 분입니다. 호남고고학을 학문적으로 정립하는데 크게 기여하셨고, 목포대에 고고학과를 설립하셨고, 이 지역에 많은 고고학 연구자들을 양성하신 큰 학자입니다.

윤○○ : 지역의 사정이 있겠다 싶어 제가 뭐라 말씀드리긴 그러하지만, 그럼 국정문제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국민들은 국정을 심판해서 대통령도 교체했는데 국정 집필에 참여한 사람은 그간의 공로가 있으니 눈감는 건가요?

두 사람의 논쟁에 곧이어 시민들도 가세했다.

최○○ : 요즘 흔한 말로 청산되어야할 적폐세력이 의향 나주에 와서 강의를 하는 것은 적절치가 않습니다.
김○○ : 동의합니다. 적폐 대상이 의향 나주에서 강의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논쟁의 중심이 된 인물은 목포대학교 고고학과 최성락 교수로, 다음달 6일 나주학 강좌의 첫 강연자다.

나주학 강좌는 나주시 교육체육과가 공모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나주문화원(원장 임경열)이 응모해 800만원을 지원받아 운영된다. 강좌는 다음달 6일 시작해서 11월까지 매주 수요일 오후 2시에 두 시간씩 진행된다.

강좌는 △고대문화로 나주학을 말하다(최성락 목포대 고고학과 교수) △왜 나주학인가? -호남학·남도학·나주학 관계(고석규 목포대 사학과 교수) △나주사람이 본 나주이야기(박경중 전 나주문화원장) △역사속의 나주와 나주 인물(조상열 대동문화재단 이사장) △영산강과 나주문화 이야기(김경수 지리학 박사) △나주의 전통음식(박준영 향토음식체험문화관 관장) △발굴로 본 고대 나주이야기(이정호 동신대 공연전시기획학과 교수) △나주 전통음악 이야기(윤종호 나주시립국악단 예술감독) △향토사학자가 본 나주 문화재 보호와 활용(윤여정 향토사학자) △나주의 음식 ‘홍어’ 이야기(강건희 영산포홍어연합회장) 등 총 10강좌다.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 등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한국고고학회, 한국상고사학회 등 9개 고고학회는 지난해 11월 6일 나주에서 ‘한국고고학 전국대회’를 열고 대회현장에서 논의를 거쳐 국정교과서 반대 성명을 채택했다.

“정부가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강행하는 것은 반민주적이고 시대착오적인 발상으로, 고고학을 전공하는 사람으로서 뿐만 아니라, 한 시민의 입장에서도 도저히 납득하거나 수긍하기가 어렵다”는 내용이 성명에 포함됐다.

최 교수는 이날 회원들 앞에서 한국고고학회장 자격으로 성명을 대표 낭독했다. 팔뚝을 휘두르며 “정부는 역사교과서 국정화고시를 즉각 철회하라” “정부는 역사를 정쟁의 도구로 삼지 말고, 민주주의의 가치와 학문적 다양성을 인정하라”는 구호를 선창하기도 했다는 것.

그랬던 최 교수가 회장 임기가 끝나자 국정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직 교사인 최 씨는 “최 교수는 한국고고학회 회장 자격으로 전국적으로 국정 반대의 움직임이 거세지자 그 대열에 참여하여 국정반대 성명까지 발표했는데 이후 국정 필진으로 들어간 사람”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정 필진에 대해서 구상권을 청구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마당에 위로는 천년 목사고을의 자존심, 1929년 학생항일운동을 낳은 혈기, 그리고 80년 5월의 민주항쟁에서는 전남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를 낸 의기의 고향 나주에서 역사 왜곡에 앞장선 사람이 강의하는 것은 나주의 이름에 상처를 내는 것”이라는 주장과 함께 “주최측이 이러한 사실을 모르고 강사선정을 했다면 다른 강사로 교체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에 대해 나주문화원측은 28일 “일부 SNS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직접 의견을 전해 온 사람은 없다”고 밝히며 “강사를 교체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의된 바가 없다”고 밝혔다.
/ 김양순 기자 jntimes@jntimes.kr

전남타임스 후원

저작권자 © 전남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