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호에 이어서> 농경사회, 산업화시대, 지식정보화시대를 거치면서 외양으로 드러난 삶의 양태는 풍요로워진 듯 보이지만, 내면의 빈곤과 사람들 상호간의 신뢰와 연대 즉 공동체성의 해체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몫이 된지 오래다.

서울, 경기도, 충청도, 가까운 광주의 경우는 일찍부터 마을만들기, 마을공동체 운동과 관련 정책이 일상이 된지 오래다.

하지만 전남의 경우에 진정한 의미의 공동체관련 활동이나 지원사업의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전라남도는 2016년 공동체관련 조례를 제정하고 전라남도 마을공동체지원센터를 민간위탁의 방식으로 개소했다.

동시에 공동체관련 다양한 공동체사업과 공모사업 등 관련 사업을 지원할 목적으로 자치행정과내에 마을공동체 팀을 신설했다.

2017년부터 300~400만원 정도의 소액을 지원하는 씨앗단계 30개의 공모사업 진행을 통해 공동체활동의 가능성을 보았다.

동시에 전남 22개시군의 주민을 상대로 한 마을 리더교육과  활동가교육, 찾아가는 마을교육을 통해 마을공동체운동의 저변확대를 위한 기반사업을 진행하였다.

2018년에는 그간에 축적된 공모사업의 경험을 확대시켜서 성장 사다리형의 사업을 진행하였다.
공동체 형성지원사업인 씨앗단계 공모에는 104곳이 응모하여 40개소를 최종확정 300~400만원을 지원하였다.

또 기존의 씨앗단계를 거친 30곳 중 20개 단체의 응모 및 심사를 거쳐서 보다 확장된 형태의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새싹단계 10개 단체(공모지원금 1천만원)를 지원하고 있다. 

전라남도 마을공동체만들기 지원센터가 수행하는 사업의 범위나 영역, 예산, 행정의 유기적인 지원시스템과 역량, 마을공동체관련 파트너 쉽과 거버넌스 등 아직도 가야할 길이 많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늦었지만 좀 더 충실하게, 서두르지 않고 공동체관련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한 발 한 발씩 내딛고 있는 실정이다.

협업이나 거버넌스가 단순한 언어적 명제에 그치지 않고 풀뿌리 주민자치의 토대위에 도민을 위한 삶의 질 향상, 민?관?연구자의 협업, 사회적경제와 도시재생 등 지역현안과 실정에 맞는 마을공동체사업의 모델링을 해나가고 있는 단계에 있다고 생각한다.

마을만들기는 그저 다양한 공모사업을 응모해서 수행하고 또 방법론을 영혼 없이 기계적으로 지원하는 일이 아니다, 즉, 돈으로 해결되는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런 측면에서 전라남도가 당면한 마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 주민상호간 서로 돕는 마을공동체의 구축과 기반조성을 위해서는 주민스스로의 교육과 학습, 벤치마킹, 행정의 지원이 일상화 되어야 한다.

‘모두를 위한 마을 만들기는 없다’는 말처럼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제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결국 주민이 스스로의 노력과 역량을 키워야 가능한 것이 마을공동체사업이라고 생각한다.

거기에 행정의 지원과 우리가 속한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함께 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지속가능한 마을을 꿈 꿀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을이 학교다’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이유다.
<다음호에 계속>
 

전남타임스 후원

저작권자 © 전남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