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원 주필
옛말에 ‘도랑치고 가제잡는다’는 말이 있다.

어떤 중요한 일을 하다보면 뜻밖에 부수적인 이득이 생기는 경우를 말한 것이라고 본다.

필자는 10년전 1997년부터 영산강뱃길복원운동을 하다가 2004년 태풍 ‘매기’ 때 필자의 집이 처마까지 침수되는 재난을 당해서 2천여만원의 손해를 봤다.

홍수예방을 위한 치수사업의 기본사업이 퇴적토준설인데, 영산강의 경우 준설만해도 뱃길이 복원됨으로 뱃길복원이 주는 이익이 가제 잡는 것으로 생각될 때가 많았다.

지난 주 광주환경운동연합과 전남환경운동연합 등 광주전남지역 60여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영산강운하백지화 광주전남시민행동(이하 시민행동)은 민주당 정세균대표에게 나주.화순지역 최인기 국회의원을 출당시키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유는 최의원이 추진하는 영산강뱃길복원이 영산강운하와 거의 같은 사업이므로 대운하를 반대하는 당론에 정면으로 배치된다는 것이다.

전라남도와 나주에서 추진하는 영산강뱃길복원사업이 지난 대선에서 이명박대통령이 공약했던 영산강운하와 거의 같다는 말은 맞다.

우리는 유럽의 라인강뱃길을 기준으로 수심 4m를 확보해서 관광선과 바지선을 띄우자는 것이고, 이명박대통령은 수심을 좀 크게 6m로 하는 것이 차이라면 차이다.

하지만 영산강 뱃길복원사업은 한나라당보다 먼저 2002년 민주당의 대통령선거 공약이였고, 2004년 전남도지사 보궐선거시 민주당후보 공약이였고, 2006년 전남도지사와 광주시장선거시 민주당후보 공약이였다.
오랜기간 민주당의 우리지역 공약사업을 상대당이 하겠다고 하니까 반대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

너무 속보이고 치사한 일이다.

뱃길복원, 그래 지금 안해도 된다.

여태껏 30여년간 뱃길이 없이도 잘 살아 왔다.

하지만 홍수예방 대책은 그게 아니다.

전국의 4대강 중에서 우리 영산강만 홍수조절용 다목적 댐이 하나도 없고, 그로인해 홍수방어력이 4대강중 가장 취약하다.

홍수방어의 기준이 되는 계획홍수량이 영산강은 나주를 기준으로 하루강우량 312㎜밖에 되지 않는데, 다른 강은 대부분 500㎜급이고, 수도권은 1000㎜로 되어 있다.

강의 홍수위를 낮추려면 상류에 홍수조절용 댐을 쌓든가 물길을 넓혀야 한다.

일부 시민단체들이 댐건설과 준설을 반대하는데 강변 침수지역에 사는 우리는 여름에 조금만 비가 많이 와도 홍수날까 잠을 못 잔다.

홍수피해를 당하면 주택의 경우 피해액의 20%정도 정부의 보조받고, 그 외의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이 감당한다. 주택외는 정부보조가 하나도 없다.

강물이 넘쳐서 며칠 침수를 당하고 나면 마누라와 자식들 말고는 쓸 것이 없다는 것을 강가에 사는 사람은 다 안다.

홍수 때면 높은 곳에 사는 주민들은 저지대 재해지역의 피해복구를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곤 한다.

팔짱끼고 구경만 하는 사람은 하나도 없다.

국가에서도 긴급예산을 편성해서 구호에 나선다.

복구보다 더 중요한 일은 항구적인 예방책이다. 이 재앙을 예방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사업이 준설사업, 다시말해 도랑치는 일이다.

가제가 보기 싫고 필요 없다고 해서 도랑치는 일을 막아서는 사람이 있다면 용서할 수가 없다. 그런 사람과는 같은 동네에서 같이 살 수 없다.

강에 도랑치는 일에 반대하는 사람은 동네를 떠나고, 더 나아가 나라를 떠나야 할 것이다.

기사등록 : 2009-07-09 오후 5:13:42

전남타임스 후원

저작권자 © 전남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