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는 존재하는데 교육은 실종 상태다.

선생님은 있는데 가르침이 없고 학생은 많은데 배움은 태부족이다.”
요즈음 초·중·고교에서 벌어지고 있는 이런저런 사고 소식을 접하면서 나라 걱정하는 사람들이 떠올리는 생각이다.

더욱 개탄스러운 것은 6 · 2 지자체 선거결과 교육 행정조차도 정치화돼가는 추세라는 점이다.
실로 교육이 걱정이다. 언론 보도를 통해보면 교사와 학생의 관계가 사실상 파탄지경으로 치닫고 있는 듯싶다.

최근 사례만 보아도 그렇다. 교실에서 휴대폰을 빼앗긴 중학교 학생이 선생님에게 의자를 집어 던진다. 학생을 상습적으로 폭행한 중학교 교사가 결국 직위해제 되는가 하면 고교 교사가 학생들에게 주먹을 휘두르는 장면을 학생이 촬영해 올린 동영상이 인터넷 공간에 떠돈다.

사랑과 존경으로 맺어져야 할 사제(師弟)관계는 말 그대로 ‘옛날얘기’가 돼 가고 있는 형국이다.

실제로 교사가 학생으로부터 폭언 · 폭행 · 협박을 당한 경우가 2005년 52건에서 2009년에는 109건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한국교총의 교사 상담사례조사) 문제가 될 정도의 학생처벌 역시 끊이지 않는다.

‘참교육을 위한 전국학부보회’가 2008 ~ 09년 학부모를 상담한 사례를 보면, 전체 1126건 중 교사의 학생에 대한 처벌(110건)과 언어폭력(26건)이 12%(136건)를 차지했다.

교사와 학생 관계만이 아니다. 학생들 사이의 폭력도 늘어만 간다.
학교 폭력 대책자치위원회의 초중고등 학생에 대한 폭력심의 건수는 2005년 2518건에서 2008년 8813건으로 늘었다. 3년 동안 3배증가한 꼴이다.

학교가 이처럼 날로 황폐화 되고 있는데도 교육 행정가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 이념적 성향에 따라 교육문제에 접근하고 이를 고집한다. 그래서 교사평가 · 학력평가고사 · 무상급식 등의 실시여부, 특목고의 존폐나 교과 운용방식 등 모든 교육현안을 놓고 시 · 도 교육감마다 다른 목소리를 낸다.

그 뿐인가, 선거법 위반혐의로 실형 받은 교육감의 선거비용과 관련해서 교육청 산하 교육장 2명이 뇌물 공여혐의로 사법처리 되기도 했다.

교육행정에까지 정치적 이해관계가 작용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선거로 교육감을 결정하는 현행제도에 회의가 제기되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교육의 해법 찾기에서 반드시 전제돼야 할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교육 행정에서 정치를 떼어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감 선출방식의 개선이 당장의 과제다.
둘째는 가정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참된 인식이다. 가정교육이야 말로 교육의 출발이라는 사회적 공감의 확산이 긴요하다. 정치가 바른 길을 가고 가정마다 사랑으로 충만할 때 학교는 자연스럽게 나라의 희망을 꽃피우는 공간이 될 것이다.

그래도 나주는 희망을 버리지 않으면 누구나 아름다운 꽃을 피울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나주도 한번은 희망의 꽃이 피리라! 내 꽃도 한번은 피리라.

전남타임스 후원

저작권자 © 전남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