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원 주필
지난 7월 23일 구 나주소방서 자리에 있는 나주시민사회센타 회의실에서 ‘영산강지키기광주·전남시도민행동’ 재결성 및 결의대회가 열렸다.

그동안 정부에서 추진하는 ‘영산강살리기사업’에 반대해 왔던 ‘영산강운하백지화광주전남시민행동’을 확대 재개편하는 행사로 알고 있다. 그 과정에서 광주·전남지역 참가단체가 60여개에서 91개로 확대되었다.

그리고 나주에서는 나주사랑시민회, 나주농민회, 공무원노조나주시지부, 전교조나주시지부 등 10개의 단체가 참가하고 있다.

광주·전남이나 나주지역에서 활동하는 “내 노라” 하는 진보적 시민단체는 거의 다 포함됐다고 보면 될 것 같다.

그들이 발표한 결의문 내용을 보면, 영산강을 준설하고 보를 만드는 일은 절대로 안 되고, 대안으로 내놓은 것이 강 본류는 손대지 말고 샛강부터 살리라는 것이다.

하지만 영산강이 홍수재앙으로부터 안전하고, 옛날처럼 깨끗한 물이 흐르기를 바라는 강가에 사는 주민들은 좀 더 많은 양의 준설을 최대한 빨리 시행해 주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

이미 마스터플랜이 나오고, 구간별로 업자선정이 되고 있는 마당에 무엇 때문에 이렇게 첨예하게 입장이 엇갈리는지 모르겠다.

예부터 치수는 치국의 근본이라고 한다. 사람도 생물인지라 물이 있어야 생명을 보존할 수 있고, 또 농사를 지어서 양식도 장만한다.

그래서 강가에 사람들이 모여살고, 도시가 형성되고 문명이 발전해 왔다.

그런데 어쩌다 비가 너무 많이 오면 강의 범람 때문에 큰 재앙을 당하기도 하고, 또 어떤 때는 비가 너무 작아 가뭄으로 큰 고통을 당하기도 한다.

따라서 백성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야하는 국가는 당연히 이 문제를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것이다.
치수의 본질은 홍수와 가뭄으로부터 백성을 지켜내는 일이다.

1989년 7월 홍수 때는 나주 영산포가 범람해서 사람이 15명이 죽고 가옥 수백 채가 파괴됐다.
우리나라에서 홍수피해의 80%는 침수피해이다.

침수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강의 퇴적토를 준설하고, 댐이나 보를 만들어 호우 시 강의 홍수위를 낮추어 주는 것은 세계 어느 나라나 다 하는 일이다.

강은 어디나 있는 것이고, 치수문제도 어느 시대 어느 나라나 다 있는 일이다. 치수문제의 구체적 방법은 특별한 일이 아니고 아주 일반화된 일이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그들은 강을 준설하면 생태계가 파괴된다고 준설을 결사적으로 반대를 하는데, 내가 견문이 짧아서 인지 모르지만 다른 곳에서는 그런 사례를 들어 본적이 없다.

강물속의 물고기도 중요하지만 사람의 목숨도 훨씬 중요하다.

강의 준설을 반대하는 것은 강촌사람들의 입장에서는, 생명이 위급해서 119 구급차를 불렀는데 멀쩡한 사람들이 소방서 앞에서 구급차를 가로막고 있는 행동으로 밖에 보이질 않는다.

그리고 오염이 심한 영산강을 준설하면 생태계가 죽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생태계가 살아난다.

나주시에서는 2002년부터 영산강 영산포지점에서 홍수예방을 위해서 강의 하상을 수심5m, 폭100m, 3km가량 준설하였는데, 그 후 강의 철새들이 10배는 많아졌다.

겨울의 청둥오리와 여름의 왜가리 개체수가 엄청 늘어난 것이다. 준설 후 철새들의 먹이가 돼는 물고기가 많아졌다는 말이다.

퇴적토 준설로 인해 강의 생태계가 살아 온 것이다.

또 이웃에 있는 만봉천도 준설 후 사라졌던 재첩이 다시 살아났다면서 지금 강가에 사는 주민들은 기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많이 배우지 못한 농촌사람들도 이른 봄이 되면 맨 먼저 시작하는 일이 도랑 치는 일이다. 아침 일찍 삽 들고 나가서 논밭의 배수로와 마을 안팎 도랑을 말끔히 치운다.

그 일을 소홀히 하면 장마철에 큰 곤욕을 치른다는 것을 경험으로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강의 퇴적토준설은 도랑치는 일일 뿐이다.

영산강에는 1년에 300만㎥의 토사가 퇴적돼서 지금까지 누적된 퇴적량이 1억㎥(루베)정도 된다.

이로 인해 홍수 때 강의 소통면적을 좁아져서 홍수피해가 가중되고, 퇴적토속에 포함된 퇴적오니가 강의 수질을 악화시킨다.

이번 ‘4대강살리기사업’에서 영산강의 준설량이 3천만㎥(루베)인데 낙동강은 4억4천만㎥(루베)나 된다.

낙동강의 면적이 7배나 큰 점을 감안하더라도 영산강의 준설량을 2배 정도는 확대해야 한다.

그리고 준설의 기준이 되는 수심도 낙동강은 6m인데 영산강은 2.5-4m밖에 되질 않는다. 우리도 낙동강과 같이 6m로 맞추어 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강 살리기 사업의 주요 목표인 홍수방어능력과 물 부족, 수질문제의 전 분야에서 4대강중 영산강이 최악의 상태를 면치 못하기 때문이다.

규장각에 소장돼 있는 1870년대에 제작한 나주지도를 보면 영산강의 중류인 영산포지점의 수심이 기록돼 있는데, 수심삼장조입즉사장(水深三丈 潮入則四丈)이라고 적혀있다.

수심이 평소는 3장이고, 조수가 들면4장이라는 얘기다.

1장이 10자 즉 3m니까 140년 전 영산포 앞 영산강의 수심은 10m안팎이라는 얘기다.

지금은 수심이 1m도 채 되지 않지만 140년 동안 강이 퇴적돼서 다 메워진 것이다.

어느 스님이 천성산의 도룡룡을 살리자고 경부고속철공사를 1년이상 지연시켜서 국가예산을 1조원이상 낭비하고 말았지만, 어느 국민이 직접적인 피해를 당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의 반대로 영산강치수사업이 지연돼서 홍수로 인해 이재민이 발생한다면 이 건 문제가 다르다.

원인행위자가 분명히 책임져야 할 것이다.

현행법은 홍수로 인한 피해는 천재지변이라 해서 주택과 농업분야에 한정해서 20%정도 밖에 지원되지 않는다.

나머지는 이재민 스스로 감당해야 한다.

다른 지역보다 치수사업이 미비했거나 어떤 사람들의 인위적인 행위로 홍수피해가 발생됐다면 그건 천재지변이 아니고 인재다.

누군가 원인행위자를 밝혀서 책임지우고 배상시켜야 한다.

영산강의 설계홍수량이 100년 빈도의 강우량인 하루강우량 312㎜인데 이게 요즘은 4-5년마다 한 번씩 온다.
나주의 경우 2004년 하루강우량430㎜가 내렸는데 이번 7월초 312㎜가 또 쏟아졌다.

강가 저지대 주민들은 비가 조금만 많이 와도 강이 범람할까봐 잠을 못 잔다. 우리 동내는 제방보다 3m 낮기 때문에 강물이 범람하는 재앙에 대한 두려움을 떨칠 수 가 없다.

이런 위급한 형국에 누가 시급한 치수사업을 방해하는가?

우리하고 무슨 원수가 졌길레 이렇게 끈질기게 우리를 못 살게 하는가?

전남타임스 후원

저작권자 © 전남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