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사장 임준선

해가 바뀔때마다 한국 사람들이 나누는 덕담은, “복 많이 받으세요” 이다. 신정(新正)에도, 설날에도 우리는 그렇게 복(福)을 기원한다.

복은 요즈음 언어로 하면 바로 행복을 뜻한다. 우리 정치권이 새삼 ‘복지’를 들고 나오는 작금의 추세는 한국인의 행복욕구가 그만큼 커지고 있는 추세임을 재빨리 간파했음을 반영한다.

물론 우리나라만의 현상이 아니다. 새삼 주목해야 할 것은, 근년들어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행복이 학문 영역에서도 본격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실제로 미국 하버드대에서 지금 최고의 인기 강의중 하나가 ‘행복학(science of happiness)' 이라고 한다. 영국, 프랑스, 독일등 서구 선진 각국의 서점가에서는 행복관련 책들이 자주 베스트셀러 목록에 들어가고 사원들의 행복증진을 위해 행복 전단부서를 설치하는 회사들도 늘어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앞으로 4년간 매년 200만 파운드(310 만달러)를 투자해 “행복지수(Happiness Index)"를 개발키로 했다.

프랑스, 캐나다 정부도 행복지수를 개발 중이다, 앞서 2000년 12월에는 100개국이 참가한 국민 행복지수(GNH) 국제회의가 브라질에서 개최되기도 했다.

국제적인 행복 열풍속에서 한국의 사정은 어떤가, 격동의 현대사에서 우리는 물질적 풍요를 행복의 척도로 삼아왔다. 1960년대의 산업화 초기에 80달러 수준이었던 개인당 GDP가 이제는 2만 달러로 250배나 늘어났다.

그러나 경제력으로 세계 10위권인 우리나라 국민중 “행복하다” 고 대답한 비율은 세계 최빈국의 하나인 방글라데시 국민의 그것보다 낮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세계가 감탄하는 우리의 경제적 성과는 지금 자살률 세계 첫째라는, 어두운 현상과 함께 한다. 풍요속의 불행이다. 긴요한 것은 행복찾기에 대한 우리의 마음가짐이다.

 행복은 권리가 아니다 의무라는 견해가 있다. 옳은 판단이라고 생각된다.

권리의 향유는 개인의 선택이지만 의무는 선택일수가 없다.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행복이 그렇다. 행복은 권리로서 추구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을 의무로서 부여 받는것이 인간의 조건임을 인정해야 한다.

행복 찾기는 어디서부터 출발해야 하는가, 아프리카 오지에서 의료봉사에 평생을 바친 슈바이쳐 박사의 어록(語錄)에 답이 있다. 박사는 “진정 행복하려면 남을 섬길 방도를 찾으라”고 일깨웠다.

‘행복학’ 까지를 애써 공부할 필요도 없이 행복의 길은 그렇게 가까이 열려 있는 셈이다. 섬김은 봉사의 다른 말이다. 봉사가 행복의 필수 요건이라는 뜻이다.

 
사람이 많이 모인 곳에 찾아다니면서 민심속에 들어갈 정치인들부터 이를 깊이 깨달았으면 좋겠다.

전남타임스 후원

저작권자 © 전남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