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지역에 들어설 롯데마트에 대한 상반된 의견들이 존재한다.

상인들 입장에선 대 규모 유통업(소매업)과의 경쟁력이 뒤지기 때문에 생존권이 걸려 있어 반대의 목소리가 크지만, 시민들 쪽에서는 양질의 선택권 확대라는 측면에서 상인들의 목소리에 냉소적 이다.

이러한 냉소적 반응은 독점적으로 지역 상권을 장악한 농협 하나로 마트가 가장 큰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는데 대부분 긍정적이다.

농협 하나로 마트가 들어서면서 특히 동네가게들은 직격탄을 맞고 대부분 문을 닫았지만, 그들은 지역 동네가게들과 상생 또는 공생의 방법이나 지역 경제 활성화에 관해 노력하거나 연구한다는 소리를 듣지도 보지도 못했다.

말하자면 지역 가게가 어떻게 되든 그들의 철 밥통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같이 살자는 외침은 사치로 여김직 하다.

또한 술 등 외에는 지역 소비자들에게 크게 이바지 하고 있지도 않으면서 규모의 확대에 열중인 그들의 속내를 들여다보면 하급 장사에 몰두다.

소비자가 하나로 마트를 찾는 이유는 편리하다는 것(원 스톱 쇼핑)이지 재래시장에서 파는 물건 값 보담 저렴하거나 품질이 월등해서가 아니다 라는 소비자들의 불만이 내재되어 있는 상황에서 가격 경쟁력에 앞서는 대 규모 유통업(소매업)이 들어온다는데 내심 반기지 않을 소비자가 어디 있겠는가?

이것이 오늘 지역 소비자들의 현실이다. 말하자면 기존 상가 등을 옹호 할 동기유발이 전혀 없는 지금에 무엇을 가지고 반대에 동참할지가 난감하다는 이야기다.

이제 하나로 마트를 운영하는 각 조합장들, 그리고 핵심적인 상인들의 의식 변화가 절실하게 필요 한다.

지역 소비자들과 신뢰를 발판으로 더불어 살아간다는 확고한 의식 변화 없이는 언제든 그들의 입점 반대 외침은 허공속의 메아리 일 뿐이다.

 각 농협의 하나로 마트나 상가에서 얻은 수익의 일정 부분을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예를 들어 생산적인 지역 경제를 위한 공동모델개발이나 시스템화에 이바지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다.

정치인들의 인기 영합을 위한, 구속력이나 강제력이 전무한 입점반대 건의문이나 채택하는 나주시의회의 눈 뜨고 앞 못 보는 청맹과니 노릇은 이제 그만 두어야 한다.

 거액을 들여 나주중심상가의 도로를 새로 깔고 송전선을 매립하여 환경을 일신(一新) 한 것은 나무랄 일은 아니지만 그 보다 가장 중요한 장사라는 아이템하곤 거리가 멀어도 한참 멀다는 시민들의 중론을 대변하는 시의원이 있었는지도 궁금하다.

민의(民意)를 대변한다는 사람들이 진심으로 지역 상권을 보호할 요량이 있다면 "그곳에 가면 무엇이 있다" 에서 해답을 만들었으면 한다.

옷이나 신발 등의 잡화를 싸게 구입 할 수 있는 경매시장을 굿(난장)과 더불어 일주일에 한번 씩 차량 없는 거리에서 상가 공동 참가로 열어 나주에 가면 눈은 즐겁고 물건은 싸게 구입이라는 제목을 만들어 간다면 그 또한 한 가지 신명나는 장사 방법 한가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반대를 위한 반대나, 밥 그릇 지키기 위한 반대는 이미 식상한 메뉴다. "중소 상인 다 죽는다! 롯데마트 입점 반대"라는 펼침 막을 내건 민주 노동당의 정치구호 또한 냉소라는 범주에서 벗어날 수 없다.

시민들은 다 죽어도 괜찮고 중소 상인들만 살리겠다는 것인지, 대안이 없는 구호가 시민들의 호응을 얻기엔 너무나 역 부족이다 는 뜻이다.

소비자와의 역지사지(易地思之)즉, 뒤집어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 상인과 지역 소비자가 공생하는 유일한 길 인 것 같다.

부(副)의 역외 유출이라는 한쪽 면에서는 롯데마트 입점은 분명 지역의 악재다. 그러나 이 악재가 시민들의 일상 소비재 선택 구입 하곤 너무 괴리되어 있다는데 문제다.

소비자 만족을 위한 최상의 서비스와 신의를 바탕으로 한 품질 그리고 정직한 가격으로 경쟁력을 키우는 것이 이 괴리를 풀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아닌가 한다.

정치인들의 보호를 기대하며 치마폭에 쌓여 떼쓰는 아이처럼 이 난제를 풀려는 것은 질 낮은 하책(下策)이다. 자본과 시장 만능주의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길, 스스로 그 길을 만들고 찾아야 하는 시대다.

전남타임스 후원

저작권자 © 전남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